분류 전체보기 325

WAS, WSGI, ASGI에 대해 araboza

django는 웹 개발 프레임워크일 뿐이지, 웹 서버는 아님물론 django에서는 python manage.py runserver 커맨드를 통해 장고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개발용 내장 서버 사용할 수 있다=> ssl 등 보안 프로토콜 적용 불가, 여러 프로세스 동시에 처리 불가 then, What's web server?웹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들이고, HTML 문서와 같은 웹 페이지를 반환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클라이언트 요청(주로 HTTP)에 맞는 응답(주로 web page 혹은 api 응답)을 생성 상기 언급한 웹 서버에서는 지정된 경로에 미리 데이터를 준비한 후 요청에 따라 그대로 돌려주는 역할의 정적 콘텐츠 서빙만을 수행 가능함ex) public 폴더에 들어갈만한 이..

web/snulion 2024.11.02

websocket에 대해 araboza

우리는 웹소켓 프로토콜을 통해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구현할 예정 How about HTTP Polling?polling = 하나의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혹은 장치)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자료를 처리하는 개념메시지를 원하는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일정 주기로 계속 Request를 전송서버 입장에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이벤트가 준비되었다면(도착했다면) HTTP Response 형태로 이를 반환해주고, 그렇지 않다면 요청은 실패 but,네트워크 리소스 많이 잡아먹음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전송 주기 T를 길게 하면 실시간성이 떨어짐 cf) long polling = 요청 횟수에 따라 서버 부담이 급증하는 Polling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등장* 구체적으로는, 만약 전송할 데이터..

web/snulion 2024.11.02

[논문 리뷰] Attention Is All You Need !

(25.03.30 추가)https://www.youtube.com/watch?v=eMlx5fFNoYctransformer는 자연어처리 같은 autoregressive modeling이 필요한 작업이 쓰인다. 기존에 쓰이던 RNN과 뭐가 다른데? transformer 학습 과정- 입력 문장 전체(complete sentence)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encoder에는 입력 문장을 한 번에 투입되어 병렬로 처리, 전체 문맥 정보를 나타내는 hidden state를 배운다- decoder는 teacher forcing이라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입력으로는 정답 문장 전체가 shifted right된 상태로 들어간다 ( 토큰 + 첫번째부터 마지막-1번째 토큰), 출력 라벨로는 첫번째부터 마지막 토큰이 된다..

AI 2024.11.01

[논문 리뷰] PARROT: MULTILINGUAL VISUAL INSTRUCTION TUNING

https://github.com/AIDC-AI/Parrot GitHub - AIDC-AI/Parrot: 🎉 The code repository for "Parrot: Multilingual Visual Instruction Tuning" in PyTorch.🎉 The code repository for "Parrot: Multilingual Visual Instruction Tuning" in PyTorch. - AIDC-AI/Parrotgithub.com Abstraction & Introduction기존 MLLM의 학습 방식은 Supervised Fine-Tuning(SFT) 방식주로 사전 학습된 LLM과 Vision encoder에 의존vision encoder를 LLM과 정렬하여 LLM에 멀..

AI/NLP (LLM) 2024.10.31

[논문 리뷰] Reducing Hallucinations in Vision-Language Models via Latent Space Steering

https://arxiv.org/abs/2410.15778https://github.com/shengliu66/VTI GitHub - shengliu66/VTI: Code for Reducing Hallucinations in Vision-Language Models via Latent Space SteeringCode for Reducing Hallucinations in Vision-Language Models via Latent Space Steering - shengliu66/VTIgithub.com깃헙 레포는 글 작성일인 오늘 업데이트된 따끈따끈한 논문..인데 어쩌다보니 읽어봄 Abstraction + IntroductionLVLM의 환각은 시각적 입력과 텍스트 출력 간의 불일치로 인해 발생하는..

AI/vision 2024.10.31

Vision Encoder - SIGLIP

LLaVA OneVision을 fine-tune 해보고 있는데, LVLM의 mm_vision_tower (vision encoder)로 siglip을 사용중이어서 이참에 정리 겸 공부해볼까 싶어 남긴다 이미지에서 시각 정보를 vision feature vector로 추출하고 그것을 text input과 동일한 embedding 공간에 투영하는 과정을 거쳐 text decoder (여기선 LLM이겠죠)의 인풋으로 들어간다.. encoder 모델CLIP (Contrastive Language-Image Pre-training)* CLIP은 이미지와 텍스트를 같이 학습하여 두 가지의 상호 연관성을 강화하는 contrastive learning 기법을 사용* 이미지 인코더(ViT)와 텍스트 인코더(BERT)를 ..

AI/vision 2024.10.30

카카오페이를 이용한 간편결제에 대해 araboza

주요 구성 요소- 구매자 (상품 선택하고 결제 진행하는 사용자)- client (프론트엔드 (React), 구매자가 상호작용하는 웹사이트나 앱. 결제 요청을 받고 결제창을 호출하는 인터페이스 역할)- Server (백엔드 (Django), PG사에게 결제 승인을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받는 상점의 서버)- 페이먼트(PG사) (실제 결제 처리와 승인, 결제 상태 등을 관리하는 결제 대행사) PG(Payment Gateway)사란?PG사는 이커머스 결제 대행 서비스를 진행하는 중개업체Payment Gateway의 준말로, `‘결제를 위한 관문’`이라고 이해PG사는 카드 결제, 간편결제, 계좌이체, 가상계화(무통장입금) 등 다양한 결제 방식을 사용할 수 있게 연결 결제 flow1. 결제창 호출 (결제 준..

web/snulion 2024.10.05

상태관리에 대해 araboza (2)

상태 관리의 유형은1. 전역 vs 로컬전역 상태 관리전역 상태(global state) 관리는 프로젝트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관리하는 것로컬 상태 관리로컬 상태(local state) 관리는 특정 기능 또는 컴포넌트 내에서만 사용되는 상태를 관리하는 것 2. 클라이언트 vs 서버클라이언트는 프론트 유저 간 상호작용, 서버는 프론트 백 간 상호작용 느낌으로 이해하자고요 Redux의 원칙1. single source of truthAction → Dispatcher → Store → View의 순서로 데이터 흐름을 단방향으로 제어하기 위한 아키텍처 2. state is read-only 3. Changes are Made with Pure Functionsfunction sampleReducer(..

web/snulion 2024.10.05

상태관리에 대해 araboza

리엑트에서 상태관리가 왜 필요하냐면요* Props-Drilling 이슈  - 리액트는 단방향 바인딩을 지원함, 즉 부모의 상태를 props로 자식으로 전달할 수는 있지만, 자식의 상태를 부모로 전달할 방법은 없음  - 즉 최상위 컴포넌트의 정의하고 관리하는 props를 계속해서 전달전달 해야함* 복잡한 상태관리 로직  - 특정 state에 대한 상태관리 함수들이 산재해있다면 (여러 컴포넌트에 흩어져있다면) 점검 힘듦, 유지보수/추적이 어려움 => 전역 상태관리를 쉽게 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쓰자 (ex. Redux) 리액트 상태관리 라이브러리에 뭐가 있냐면요redux, context-api, MobX, Recoil, Zustand, Jotai ... Redux란 뭐냐면요Flux라는 아키텍쳐를 실제로 구..

web/snulion 2024.09.25

OAuth 2.0에 대해 araboza

OAuth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다른 웹사이트 상의 자신들의 정보에 대해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공통적인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접근 위임을 위한 개방형 표준이다. 장점은 뭐냐면요- 사용자 비밀번호를 직접 전달/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자격 정보가 노출될 위험을 줄임- 토큰 기반 인증으로 권한 부여 및 제한이 쉬움- 사용자 경험에서는 로그인 절차가 간소화되고, 동일한 계정으로 여러 서비스 로그인이 가능해져 편함 구성요소는요* 자원(개인정보)을 소유하는 주체인 Resource owner* 가입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애플리케이션 서버 (Client)* 접근권한 부여하고 응답을 반환하는 서버 (Authorization Server) 동작 메커니즘은요STEP0. 통..

web/snulion 2024.09.25
반응형